Vite, CRA, Next 등 여러 dev 환경에서 proxy가 되는 이유
개발을 하다 보면 개발(dev) 환경에서 API를 요청할 때 proxy 설정을 하라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 배포(production) 환경에서는 이 proxy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xy란? 직역하자면 ‘대리’ 혹은 ‘중계자’라는 뜻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하는 존재를 말합니다....
개발을 하다 보면 개발(dev) 환경에서 API를 요청할 때 proxy 설정을 하라는 경우를 자주 보게 됩니다. 하지만 실제 배포(production) 환경에서는 이 proxy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proxy란? 직역하자면 ‘대리’ 혹은 ‘중계자’라는 뜻으로,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서 중간 역할을 하는 존재를 말합니다....
React로 개발하다보면, DropDown 이나 Modal같은 것들을 굉장히 자주 만들게 됩니다. 근데 항상 매번 비슷한 코드를 반복하다 보면 귀찮고 지겹고 좀 더 깔끔하게 만드는법이 없을까 생각이 들죠 오늘은 제가 자주 사용하는 방법들을 소개할려고 합니다. 상태관리 최소화 하는 훅 만들기 const useToggle = () =>...
저는 Flutter 전용 개발자는 아니지만, Flutter를 사용한 프로젝트가 있어 중요한 정보를 공유하게 되었습니다. 최근 iOS26의 발표와 함꼐 iOS18.4 버전도 출시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Flutter 개발자에게 이는 달갑지 않은 소식 일 수 있습니다. 왜? 업데이트를 하면 안될까요? Flutter의 디버깅모드는 아이폰의 JIT(Just...
제목을 보고 놀라신 분들이 많을 거라 생각합니다. 저 역시 그랬으니까요. 오늘은 해외 포스팅 하나를 깊이 있게 요약하고, 그 원본을 공유하고자 합니다. 개요 - 논쟁의 중심에 선 styled-components 최근 React 개발자들 사이에서 핵심 쟁점으로 떠오르는 것은 styled-components의 미래 라고 생각됩니다. 공식 관리자 조차 ...
참고버전 expo 53 react-native 0.79 react 19.0.0 이슈 이번 프로젝트 같은 경우 Expo 혹은 React-Native로 개발을 하였고 맵뷰 와 마커를 이용해서 해당 위치에 마커를 구성해줘야하는 일이 생겼습니다. Expo는 SDK 53, react-Native는 0.79 이상을 사용했습니다. MapView는 자연스럽게 나오...
우연한 기회로 길벗출판사의 를 제공받아 읽어보게 되었습니다. 평소 관련 서적을 탐방하러 서점에 갈 때마다 종종 보였던 시리즈기에 더 흥미를 가지게 되었네요. 이 서적은 CS 교과서같은 일목요연한 요점정리와 간단한 퀴즈들, 다양한 그림과 도표로 이루어졌습니다. 하나의 책을 처음부터 끝까지 읽는다는 느낌보다는 코딩을 하면서 궁금했던 용어나 원리들을 ...
오늘의 일상 다반사 원래 일주일에 블로그 글 하나씩이라도 적는 게 목표였지만 마지막 3월 글로 벌써 4개월째 블로그를 안 썼네요. 일적으로 바쁜 것도 있고 어떻게 써야 할지 감이 안 잡혀서 미루고 미뤘다가 이제 한번 다시 글을 써보려고 합니다. 주기적으로 라이브러리를 소개하는 것과 지금까지 개발하면서 있었던 일들 등 여러 가지를 블로그에 적으면 저...
Typescript란? Typescript는 Javascript 의 superset으로 Microsoft에서 만든 자바스크립트 언어 입니다. 최근에 Microsoft는 하나의 발표를 했는데 기존 Typescript의 자체 컴팡일러 tsc 방식을 두고 go을 이용해서 컴파일을 시도했고 결국 10배 이상이 빠른 속도로 컴파일되는것을 보여주었습니다. 왜...
개요 Expo SDK 52 버전에서 MapView안에 Map Marker를 띄울때 처음엔 문제가 없지만 재랜더링 되거나 변동이 생길경우 앱 충돌이 나면서 앱이 꺼져버리거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생겼습니다. 이는 Expo SDK 51에는 없었던 오류 였고 Expo SDK 52로 업데이트 되면서 생긴 문제였습니다. 문제 해결법 Expo SDK ...
개요 React-Native에서 모달을 만드는 방식은 여러가지가 있습니다. Modal 컴포넌트를 이용해서 해당 컴포넌트 안에서 작성을 하거나 Contaxt-API , Zustand 혹은 Jotai 등 여러가지 상태관리 라이브러리를 이용하거나 React.Portal( React-Native 가 아닌 경우 )등 여러가지가 있을겁니다. 저는 이 중에 굳...