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o-build-properties를 이용한 expo 빌드 최적화
개요 Expo를 이용하여 빌드를 할려고 했을때 용량이 생각보다 크게 나오는것을 발견했습니다. 기본적으로 Expo는 Native의 개발 편의성을 극대화 하고 빌드 시 포함되는 설정들이 많기에 빌드의 용량이 클수밖에 없다는것을 알게 되었고 최적화하는 방법을 찾아보았을때 expo-build-properties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expo-buil...
개요 Expo를 이용하여 빌드를 할려고 했을때 용량이 생각보다 크게 나오는것을 발견했습니다. 기본적으로 Expo는 Native의 개발 편의성을 극대화 하고 빌드 시 포함되는 설정들이 많기에 빌드의 용량이 클수밖에 없다는것을 알게 되었고 최적화하는 방법을 찾아보았을때 expo-build-properties를 발견할 수 있었습니다. expo-buil...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어떻게 구분해야할까? 이전에 작성했던 함수형 프로그래밍 문서에서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이 어떤것인지, 어떻게 작성하면 좋은건지에 대해서 작성을 했었습니다. 오늘은 함수형 프로그래머로서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대한 구분을 한번 작성해볼려고 합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구분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세 분류로 나눌수 있을것 같습니다. ...
어떤것이 함수형 프로그래밍일까? 순수 함수 함수형 프로그래밍의 특징으로는 순수 함수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입문기에서도 적었다 싶이 순수 함수는 SideEffect가 없는것을 순수함수이며 SideEffect는 외부 상태값을 참조하거나 변경하지 않는것 않는것을 얘기합니다. 예를 들어 let num = 1; function add(a){ ret...
개요 싱글턴 패턴을 구축하고 상태관리 라이브러리와 같이 사용하면서 메모리 사용을 줄이고 테스트와 성능 최적화를 하는것을 자주 사용하는것 같아 싱글턴 패턴을 알아보고 구현과 zustand를 조합해서 컴포넌트 개발을 한번 해볼려고 합니다. 싱글턴 패턴이란? 싱글턴 패턴은 Class로 만든 인스턴스가 오직 하나만 생성되도록 만드는 디자인 패턴입니다. 예...
함수형 프로그래밍 이란?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도대체 무엇일까? 위키피디아에 나오는것을 보면 수학 함수를 사용하고 side effect를 피하는 것이 특징인 프로그래밍 패터다임이라고 나와 있고 side effect 없이 순수 함수만 사용하는 프로그래밍 스타일 이라고 보면 됩니다. Side Effect란? 함수나 표현식이 자신의 스코프 외부에 ...
유틸리티 타입? 기초의 타입스크립트만 배우다보면 타입정리가 하나도 되어있지 않거나 지저분한것을 많이 느낄수 있을겁니다. 이러면 나중에 타입을 확인하기 어렵고 까다로우며 에러만 사라지면 되는 느낌으로 타입을 작성하는 자신을 볼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고충을 해결하기 위해서 나온것이 타입스크립트의 유틸리티 타입 입니다. 오늘은 여러 많은 유틸리티 타입중...
개요 약 퍼블리셔로 3년간 일하고 프론트엔드로 전향하고 싶다는 목표가 생겼습니다. 퍼블리셔로 외주를 받아서 일을 하여 프론트엔드 공부를 약 6개월 정도 하고 난뒤 여러 개인 프로젝트를 만들어 취업시장에 들어갔으나 원하는 회사에 들어가는건 어려웠습니다. 제가 부족한건 뭔지 공부를 제대로 진행하는건지에 대한 의구심이 들었고 부트캠프를 한번 다녀봐야겠다 ...
문제 정의 Next.js에서 Jest를 사용할때 RSC에 async를 붙일경우 에러가 발생하는 오류를 발견하였습니다. async를 붙이기전 export default function Page() { return <h1>App Router</h1>; } async 붙인후 export default async functio...
개요 커스텀모달이 필요할 것 같아 모달 관련 라이브러리를 사용하지 않고 Redux-toolkit을 이용해서 직접 만들려고 하니 오류가 저를 기쁘게 반겨주었습니다. A non-serializable value was detected in an action, in the path: `payload.Component`. Value: ƒ Login(par...
개요 React일 경우 저는 http-middleware-proxy을 이용한 방법을 자주 사용했습니다. Next.js에서는 다른 방식을 사용해야 했습니다. 해결방안 next.js에서는 next.config.mjs에서 rewrites을 추가해서 해당 주소로 요청을 보낼 때 cors 우회를 할 수 있었습니다. /** @type {import('...